개실마을

- 마을 주민수 : 50가구 102명(귀농귀촌 10가구 11명)
-
- 마을 대표자 : 김민규
- 연락처 : 010-5050-0092
-
- 마을 운영자 : 신경수
- 연락처 : 010-8323-3855
- 세부유형 귀촌형(일반)
- 입주가능일2022.03.31
- 신청기간2022.02.23~2022.04.09
- 운영기간2022.04.11~2022.07.10
- 모집인원8명
- 마을정보
- 프로그램
- 교육 및 기타시설
- 숙박정보(5)
마을소개
조선 중엽 무오사화 때 화를 입은 영남사림학파의 종조 점필재 김종직 선생의 후손들이 모여 사는 세거지로, 마을의 80%는 한옥으로 구성되어 있고 경북문화관광해설사의 인솔로 김종직 선생과 그 후손들에 관련된 이야기를 마을 투어를 하며 들을 수 있습니다.
마을영농사업으로 벼농사, 특산물 딸기 농사를 집성촌 마을의 문화를 접목하여 마을 특화프로그램, 한옥숙박, 특산품등 다양한 성과를 이루었고, 현재 마을 고령화의 문제로 마을 사업 계승 및 귀농 청년 및 예술가 영입으로 미래 지향적 마을로 변화를 요구 기대하는 시발점이 필요한 상태입니다.
봄에는 딸기수확을 비롯하여 여름과 가을에는 농산물 수확체험 등 다양한 가족단위 영농체험, 겨울에는 유과만들기, 연중 가능한 엿만들기 등 전통체험프로그램과 마을내 도예공방에서 도자기체험도 할수 있습니다.
20여 가구의 다양한 규모의 한옥민박 및 3000㎡의 넓은 마당과 쉼터에서 다양한 전통놀이체험을 무료로 즐길 수 있어 당일 또는 1박2일 일정의 가족 나들이 장소로 좋은 마을입니다.
주요 프로그램
쌀엿 만들기 체험
한과 만들기 체험
공방 다도체험
주요연혁
'99년 : 농협 팜스테이마을 지정
'01년 : 아름마을가꾸기사업 지정
'03년 : 팜스테이마을 선정(농촌관광사업)
'06년 : 고택자원화사업 지원(문화체육관광부)
'15년 : 경상북도 마을 이야기 박람회 우수상
'16년 : 경상북도 마을 이야기 박람회 웰빙상
사업추진경험
'05년~'20년 : 마을기업체험 프로그램 운영
'21년 : 농촌 살아보기 프로그램 운영(7명)
주의사항
숙박 및 운영자 제공 프로그램 지원(식비, 교통비 등 생활비 참가자 부담)
주민등록 기준 경상북도 외 거주자로 귀농, 귀촌에 관심있는 개인 또는 가족
우대사항 : 만18세 ~ 만39세 청년
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해 발열, 호흡기 증상 등이 있거나 최근 14일 이내 해외여행을 한 경우 참가를 제한하고 있으며 마을에서는 전자출입명부(KI-pass)를 등록해 주 3회 이상 참가자의 출입상황 점검 및 건강상황을 진단, 관리하고 있습니다.
프로그램 (귀촌형)
비고사항1기수 3개월(4.1~6.30), 2기수 2개월(9.1~10.31)
세부 프로그램
좌우 스크롤로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일정 |
분류 |
프로그램 내용 |
횟수 |
비고 |
1M |
OT (교육 참여) |
오리엔테이션/수업안전교육/성희롱예방교육 커리큘럼 소개 및 결과 자료 도출 (예시; 설문지 및 ppt) |
1회 |
|
농촌이해 |
귀농 ·귀촌의 참여 동기 및 자기목표 토의 |
1회 |
|
|
지역탐색 |
지역 문화 알아보고 직접 견학하기 마을유래와 마을운영에 대하여 강의 및 견학 |
1회 |
|
|
영농실습 |
개실마을 전통문화에 대하여 체험하기 (전통엿,유과,다도) |
2회 |
|
|
지역탐색 |
시군귀농정책(전문상담사와 개별적으로 귀농정책 상담하기) |
2회 |
|
|
농촌이해와 현장답사 |
귀농.귀촌인 정착 우수사례 견학 및 체험 |
3회 |
|
|
영농실습 (근로수당지급) |
농작업근로 |
주1회 |
|
|
영농실습 (근로수당지급) |
농촌 단기 일자리 |
주1회 |
|
|
지역교류 |
교육에 대하여 주민과 토론하고 참여후기,감상문쓰기 |
2회 |
|
|
2M |
농촌이해
|
우수농장 견학 및 농장대표간담회 |
2회 |
|
지역탐색 |
주택,농지,일자리,자녀교육등 조사 |
2회 |
|
|
농촌 이해 |
귀촌 계기 및 마을 정착을 위한 사례공유 -(창업사례듣기-랑도예공방/랑카페/숙박) |
1회 |
|
|
지역탐색 |
개실마을 특화사업에 적합한 마을 프로그램 개발 및 체험 프로그램 참여 및 운영 |
2회 |
|
|
영농실습 |
귀촌인 마을 특화에 맞는 프로그램 체험 및 실습 (도자기체험) |
3회 |
|
|
농촌이해 |
귀촌 후 창업 사례 현장 답사
|
2회 |
|
|
영농실습 |
개실마을 전통음식에 대하여 체험하기 (전통엿,유과,약과,매작과) |
2회 |
|
|
영농실습 (근로수당지급) |
농작업근로 |
주1회 |
|
|
영농실습 (근로수당지급) |
체험마을 행사지원 |
주1회 |
|
|
지역교류 |
교육에 대하여 주민과 토론하고 참여후기,감상문쓰기 |
2회 |
|
|
3M |
농촌이해와 체험 |
귀촌이해교육 |
2회 |
|
지역교류 |
귀촌생활에 대하여 지역귀농인 간담회갖기 |
1회 |
|
|
영농실습 |
개실마을 전통문화에 대하여 체험하기 (전통엿,유과,나무문패만들기) |
2회 |
|
|
영농실습 (근로수당지급) |
농작업근로 |
주1회 |
|
|
영농실습 (근로수당지급) |
농촌단기일자리 |
주1회 |
|
|
지역교류 |
교육에 대하여 주민과 토론하고 참여후기,감상문쓰기 |
2회 |
|
|
지역교류 |
농촌에서 살아보기 프리마켓행사 개최 (귀농귀촌단체와 함께) |
1회 |
|
|
설문조사 |
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및 연수활동 발표회(ppt,동영상) |
1회 |
|
-
못골댁(모집완료)
- 객실형태 : 한옥민박/보일러
- 면적 : 20㎡
- 수용인원 : 3명
- 객실시설 : 화장실, 온수시설, 샤워시설, 세면대, 에어컨, 냉장고, 씽크대, 가스레인지(인버터), 전기밥통, TV, 세면도구, 청소도구, 전기주전자, 수건, 조리도구, 침구류, 식기류
- 추가공간 : 야외운동장, 공동샤워장, 체험장, 휴게공간, 공동화장실, 공동세탁기, 공동정수기, 공동주방 및 식당, 공용주차장, 교육장
- 비고 :
-
덕동댁(매실)(모집완료)
- 객실형태 : 한옥민박/보일러
- 면적 : 18㎡
- 수용인원 : 2명
- 객실시설 : 화장실, 온수시설, 샤워시설, 세면대, 에어컨, 냉장고, 씽크대, 가스레인지(인버터), 전기밥통, 세면도구, 청소도구, 전기주전자, 수건, 침구류, 식기류
- 추가공간 : 야외운동장, 공동샤워장, 체험장, 휴게공간, 공동화장실, 공동세탁기, 공동정수기, 공동주방 및 식당, 공용주차장, 교육장
- 비고 :
-
하동댁(매실)(모집완료)
- 객실형태 : 한옥민박/보일러
- 면적 : 16㎡
- 수용인원 : 2명
- 객실시설 : 화장실, 온수시설, 샤워시설, 세면대, 에어컨, 냉장고, 씽크대, 가스레인지(인버터), TV, 수건, 침구류, 식기류
- 추가공간 : 야외운동장, 공동샤워장, 체험장, 휴게공간, 공동화장실, 공동세탁기, 공동정수기, 공동주방 및 식당, 공용주차장, 교육장
- 비고 :
-
거경재(매실)(모집완료)
- 객실형태 : 한옥/보일러
- 면적 : 16㎡
- 수용인원 : 2명
- 객실시설 : 화장실, 온수시설, 샤워시설, 세면대, 에어컨, 냉장고, 씽크대, 전자레인지, 가스레인지(인버터), 전기밥통, 식탁(밥상), TV, 청소도구, 전기주전자, 수건, 침구류, 조리도구 일체, 식기류 일체
- 추가공간 : 야외운동장, 공동샤워장, 체험장, 휴게공간, 공동화장실, 공동세탁기, 공동정수기, 공동 주방 및 식당
- 비고 :
-
웅기댁(매실)(모집완료)
- 객실형태 : 한옥/보일러
- 면적 : 20㎡
- 수용인원 : 3명
- 객실시설 : 화장실, 온수시설, 샤워시설, 세면대, 에어컨, 냉장고, 씽크대, 전자레인지, 가스레인지(인버터), 전기밥통, 식탁(밥상), TV, 와이파이, 청소도구, 전기주전자, 수건, 침구류, 조리도구 일체, 식기류 일체
- 추가공간 : 야외운동장, 공동샤워장, 체험장, 휴게공간, 공동화장실, 공동세탁기, 공동정수기, 공동 주방 및 식당
- 비고 :